중도 입사자 연말정산 방법

중도 입사자 연말정산 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어제는 중도 퇴사자에 대해 알아봤는데 중도 퇴사자가 있다면 중도 입사자도 있기 마련이니 연말정산을 어떻게 하는지 확인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1. 중도 입사자란?

같은 해 (이전 직장에서)퇴사를 하고 (현재 직장에) 입사를 한 사람을 말합니다. 쉽게 이야기 해서 이직한 사람을 이야기 합니다. 1월 1일에 회사에 입사해서 12월 31일에 퇴사하는 사람은 잘 없기 때문에 보통 중도 퇴사와 중도 입사를 하게 됩니다.

 

 

2. 중도 입사자의 연말정산 방법

연말정산은 지난 한해동안 세금을 더 냈다면 돌려받고 덜 냈다면 더 내기 위해 나라에서 정해놓은 세법에 따라 원천징수대상자인 근로자가 최종적으로 정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도 입사자는 전 직장 및 현직장에서 근로소득이 발생하였기 때문에 둘 모두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하게 되는데요. 보통은 현재 일하고 있는 직장에서 전직장까지 합산하여 연말정산을 해 줍니다. 이때 현직장에는 전 직장에서 받은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근로소득 지급명세서)을 제출하게 됩니다.

 

  • 필요서류: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다음 단락에 발급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에서 이전 직장 연말정산 업무를 처리해주지 않을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5월에 시행되는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시면 됩니다.

 

국세청 홈택스의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를 받는 경우 현재 직장에 재직하고 있는 월만 계산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1월에 퇴사하고 7월부터 다시 일을 시작했다면, 현직장에서는 7,8,9,10,11,12월에 해당하는 자료를 제출해 주시면 되며, 1월은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확인하러 가기

 

 

 

3.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 발급받는 방법

이 전 직장에서 근로자에 대한 자료를 제출한 이후인 3월 즈음 확인이 가능합니다.

 

  • 국세청 로그인: 국세청에 접속 후 로그인을 해 줍니다. 이때 다음 단계인 My홈택스를 먼저 누르셔도 로그인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My홈택스: 왼쪽 메뉴에 연말정산·지급명세서 부분 클릭하면 "지급명세서 등 제출내역"을 볼수 있습니다.

 

  • 지급명세서 보기: 귀속년도와 징수의무자(회사)를 확인하시고 "보기"를 클릭하시면 인터넷 화면으로 볼 수 있으며 출력(PDF를 선택하시면 저장가능)도 가능합니다.

 

 

4. 퇴사 후 입사하지 않고 소득이 없는 경우

보통은 중도퇴사자 연말정산은 퇴사하는 회사에서 퇴사와 함께 바로 시행하기 때문에 신고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마지막 부분에 결정세액이 있는 경우 5월에 있는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이 되므로 꼭 확인하시길 바라며 지난 포스팅인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방법 포스팅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5. 마치며

근로자에게는 13번째 월급이라고 칭하는 연말정산입니다. 중도 입사자 연말정산 방법을 잘 확인하시고 반드시 손해 보는 일 없이 준비 잘하시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연말정산용 증명서 간편하게 발급 받는 방법(2024)

 

연말정산용 증명서 간편하게 발급 받는 방법(2024)

연말정산용 증명서 간편하게 발급받는 방법을 행정안전부에서 보도자료로 지난 1월 14일에 발표하였습니다. 증명서가 필요한 것은 알겠지만, 어디서 받아야 하는지 궁금하셨던 분들은 아래 내

alpha.dodo2world.com

 

홈택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는 방법

 

홈택스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하는 방법

연말정산을 하기 위해 국세청 홈택스(https://www.hometax.go.kr/)를 많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내 환급금이 얼마나 될까 궁금해하는 분들을 위해 홈택스에서는 미리 연말정산 환급금을 계산할

alpha.dodo2world.com

 

2024년 연말정산 절세 팁: 간소화로 해결 안되는 부분

 

2024년 연말정산 절세 팁: 간소화로 해결 안되는 부분

2024년, 연말정산 시즌이 다시 돌아왔습니다. 매년하고 있지만, 할 때마다 복잡해서 잘 모르는 부분이 있기도 하고 누군가 대신해주지 않는 이상 잘 모르는 부분은 혜택을 받지 못하고 넘어가야

alpha.dodo2world.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