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도약계좌는 여러 은행에서 가입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여러 은행 중 나에게 가장 유리한 은행은 어디일지 은행금리를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부터 34세의 청년이 목돈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원하는 중장기 프로젝트라고 보시면 쉽습니다. 월 최대 70만 원까지 납부가 가능하며 5년간 납입하면, 5,000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병역이행을 하였을 경우 최대 6년까지 연령계산에서 제외해주고 있으며, 개인소득 연 6,000만 원 이하 중위소득 180% 이하인 청년만 가입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개인소득은 근로소득과 사업소득 모두 포함됩니다.
2. 청년 도약계좌 은행금리 선택 기준
모든 은행은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로 나뉘어져있습니다. 우대금리에 해당사항이 없다면 기본금리가 높은 은행으로 선택하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기본금리는 3.8%부터 4.5%까지로 나뉘어있으며, 우대금리는 1% ~ 1.7%까지 나뉩니다.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것은 모든 은행이 기본금리와 최대 우대금리를 합하면 동일하게 5.5%라는 것입니다.
즉 우대금리를 먼저 확인한 다음 우대금리를 최대로 받을 수 있는 은행을 선택한다면 어느 은행을 선택하든 최대 금리를 받을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3. 은행별 기준금리와 우대금리 비교
3.1. KB국민은행
-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최대 1%(급여이체 0.6% / 자동이체 0.3% / 주택청약 신규가입 또는 KB청년희망적금만기해지 0.1%)
3.2. 우리은행
-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최대 1%(급여이체 1% / 예적금보유 0.5% / 카드실적 0.5%)
- 최대 우대금리를 채우기 쉬운 조건으로 보이지만, 만기까지 적금 자동이체 및 마케팅동의를 해야 함
3.3. 신한은행
-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최대 1%(급여이체 0.3% / 결제실적 0.3% / 첫 거래 우대 0.4%)
3.4. NH농협은행
-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최대 1%(급여이체 0.1-0.5% / 마케팅동의 0.2% / 카드실적 0.2% / 최초거래 0.1%)
3.5. 하나은행
-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최대 1%(급여이체 0.6% / 마케팅동의 0.1% / 카드실적 0.2% / 목돈마련응원 0.1%)
3.6. IBK기업은행
- 기본금리: 4.5%
- 우대금리: 최대 1%(급여이체 1% / 마케팅동의 0.1% / 공과금 자동이체 0.2% / 카드실적 0.2% / 최초고객 0.3%)
3.7. DGB대구은행
- 기본금리: 4.0%
- 우대금리: 최대 1.5%(마케팅동의 0.3% / 주택청약보유 0.5% / 자동이체 30회 이상 0.7%)
3.8 BNK부산은행
- 기본금리: 4.0%
- 우대금리: 최대 1.5%(급여이체 0.5% / 카드실적 0.5% / 신규고객 0.5%)
3.9 BNK경남은행
- 기본금리: 4.0%
- 우대금리: 최대 1.5%(급여이체 0.7% / 주택청약보유 0.4% / 최초신규고객 0.4%)
3.10. 광주은행
- 기본금리: 3.8%
- 우대금리: 최대 1.7%(급여이체 0.5% / 카드실적 0.5% / 첫 거래 0.5% / 만기축하 우대 0.2%)
3.11. 전북은행
- 기본금리: 3.8%
- 우대금리: 최대 1.7%(급여이체 0.7% / 마케팅동의 0.2% / 적금 자동이체 0.3% / 카드실적 0.5%)
4.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유의할 점
청년 도약계좌의 가장 큰 리스크는 5년이라는 만기가 생각보다 길다는 것입니다. 청년도약계좌와 비교되는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2년이라는 더 짧은 만기 기간임에도 출시 7개월 만에 30만 명이 중도 해지했다고 합니다.
특히 5년이라는 긴 기간 동안 목돈이 묶일 수 있기 때문에 무리하여 최대 납입금인 70만 원을 채운다기 보다 해지 없이 완납이 가능한 금액을 계산하는 것이 더 합리적을 수 있습니다. 물론 다른 재테크를 하지 않고 있다면 최대 납입금인 70만원을 납입하는 것이 지금은 다른 어떤 금융상품보다 안정적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현명한 선택으로 5년 동안 해지 없이 완납하여 모두 목돈을 만드시길 바랍니다.
'알쓸신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직구 개인통관고유번호 재발급 방법 (0) | 2024.01.28 |
---|---|
연말정산 중소기업 취업자 소득세 감면 방법 및 서류 다운로드 (0) | 2024.01.27 |
비트코인 갤러리: 과연 믿을만한가? (0) | 2024.01.26 |
비트코인 반감기가 오면 가격이 오를까? (0) | 2024.01.26 |
2024년 연말정산 신용카드공제 계산법 (0) | 2024.01.25 |